카테고리 없음
아가동산 위치 교주 근황 김기순 남편 아들 최근 근황 현재 자녀 가족 자식
nry467
2023. 3. 14. 01:08
아가동산 "'나는신이다' 방송 내려라…안내리면 매일 1000만원"
- 2023. 3. 13.
종교단체 ‘아가동산’이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를 상대로 법원에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다. 해당 다큐멘터리에 가처분 신청을 낸 건 기독교복음선교회(JMS)에 이어 아가동산이 두 번째입니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아가동산 교주 김기순(83) 측은 지난 8일 한국 법인 넷플릭스서비시스코리아와 ‘나는 신이다’를 제작한 MBC 및 조성현 PD를 상대로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방영금지 가처분 신청을 냈답니다. 이들은 8부작으로 제작된 다큐멘터리 중 아가동산을 다룬 5~6회 ‘아가동산, 낙원을 찾아서’와 ‘죽음의 아가동산’의 송출을 금지해 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습니다.
김 교주 측은 “‘나는 신이다’ 5·6회가 아가동산과 아울러서 김기순에 관해 허위의 내용을 담고 있다”며 방송을 이어갈 경우 “아가동산 측에 매일 1000만원을 지급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아가동산은 2001년에도 SBS ‘그것이 알고 싶다-아가동산, 그 후 5년’을 상대로 방송금지 가처분 신청을 한 바 있다. 당시 서울지법 남부지방법원은 이를 받아들였고, SBS는 방영 예정이었던 ‘아가동산 그 후 5년’을 특집 다큐멘터리로 긴급 대체 편성했습니다.
그러나 이번엔 법원이 가처분신청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크지 않아 보인다. 앞서 JMS 측도 가처분 신청을 냈지만 지난 2일 기각됐다. 당시 재판부는 “MBC와 넷플릭스는 상당한 분량의 객관적·주관적 자료를 수집해 이를 근거로 프로그램을 구성한 것으로 보이는 상황이다”고 밝혔답니다.
아가동산은 1982년 김 교주가 창시한 협업마을형 종교단체다. 이 단체는 신도들의 사유 재산을 교단의 공동 재산으로 귀속시킨 적 있으며 1982년 12월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용두동에 레코드 유통 전문 업체, 신나라레코드를 설립하기도 했답니다.
김 교주는 1996년 12월 신도 살인 암매장 의혹을 받고 검찰에 출석한 바 있다. 조세 포탈과 횡령, 폭행 등 6가지 혐의에 대해 유죄가 인정되어 징역 4년, 벌금 56억 원을 선고받았으나 이후 무혐의 처분과 함께 보석으로 석방됐답니다.
"신나라가 사이비종교였어?"…90년대 가요계 지배한 '아가동산'
-2023. 3. 8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나는 신이다:신이 배신한 사람들'(이하 '나는 신이다') 공개 이후 신나라레코드 불매 움직임이 일 조짐이 보이고 있다. 신나라레코드가 사이비 종교 '아가동산'의 수익원이라는 사실이 재조명되면서다. 신나라레코드는 유명 대중가요 음반을 유통한 곳으로 CD나 테이프로 음악을 듣던 1990년대를 거쳐온 세대라면 익히 들어봤을 이름이랍니다.
3일 공개된 '나는 신이다' 5~6부는 아가동산과 그 교주 김기순의 범행에 대해 다루고 있답니다.
아가동산은 1982년 김기순이 경기도 이천에 설립한 신흥 종교다. 김기순은 당초 전북의 한 사이비 종교의 신도였는데, 그 종교의 교주가 구속된 이후, 남은 신도들을 흡수해 아가동산을 설립했다. 김기순은 예수는 아가이며, 자신이 곧 아가라는 교리로 자신을 신격화했다. 그는 신도들에게 부부 및 부모 자식 간의 연을 다 끊고 자신에게 복종하도록 세뇌했답니다.
다큐멘터리에서 핵심적으로 다루고 있는 아가동산의 범행은 김기순의 뜻을 거스르는 신도를 다른 신도들이 폭행해 죽게 한 일이다. 특히 그 피해자 중에는 7살 어린이 최낙귀도 있었다.
아가동산의 중요한 특징은 신도들과 함께 '협업마을'이라는 경제·종교 공동체를 만들어 농장 노동을 시키는 등의 방식으로 신도들의 노동력을 착취했다는 점이다. 노동의 강도는 상상을 초월할 정도의 중노동이었다고 한다. 다큐멘터리에서는 아이들에게 지하철에서 껌 등을 파는 '앵벌이'를 시켰다는 증언도 나온다.
아가동산 사건을 취재했던 양봉식 기자는 "집단에 있는 사람들을 김기순을 위해 노예화시켰던 사건"이라고 정의했답니다.
특히 김기순이 설립한 신나라레코드는 아가동산의 중요한 수익원이었다. 신나라레코드는 음반 유통만이 아니라 제작까지 1980·90년대 가요계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던 회사다. 이름 '신나라'는 '신난다'는 뜻이 아니라 '신(神)의 나라'라는 뜻이라고 다큐멘터리는 전하고 있답니다.
유명 가수들의 음반도 많이 제작했는데 대표적으로 가수 김광석, 이소라, 강산에, r.ef 등이 전속으로 소속돼 음반을 만들었다. 당시에는 CD나 테이프로 음악을 듣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신나라레코드가 벌어들인 수익은 어마어마했다. 다큐멘터리의 한 출연자는 "돈을 셀 수가 없을 정도로 쓸어 모았던 상황이다"고 했답니다.


